top of page

논문투고 규정

제 정: 2022. 8. 18.

제 1조(명칭)

이 규정은 한국평생교육융복합학회의 학술지인 『평생교육융복합연구』논문 투고에 관한 규정이라 한다. 

 

제 2조(목적)

이 규정은 『평생교육융복합연구』에 게재할 논문의 투고에 관한 절차를 정하고 관련 업무를 규정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 3조(저작권)

'평생교육융복합연구'에 게재된 논문 등의 저작권은 본 학회가 소유한다. 저작권에는 디지털로의 복제권 및 전송권을 포함한다. 다만, 게재된 논문의 필자가 본인의 논문을 사용할 경우에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이를 승인한다.

 

제 4조(투고 범위와 자격)

  1. '평생교육융복합연구'는 인적자원 관련 교육, 컨설팅, 코칭 등을 포괄하는 융·복합 논문을 게재한다.

  2. 논문은 다른 학술지에 발표되지 않은 것이어야 한다.

  3. 투고 논문이 표절한 논문으로 판명될 경우 향후 3년간 본 학술지에 논문을 투고할 수 없다.

  4. 투고 자격은 학회의 회원으로서 연구자(석사과정 이상)로 한정한다. 단, 편집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인적자원분야를 고양할 수 있는 비전공자의 원고를 투고 받아 게재할 수 있다.

 

제 5조(투고 시기와 방법)

  1. 논문투고는 연중 수시로 하되, 논문 투고의 마감은 5월 9일, 11월 9일로 한다. 단, 2022년에는 10월 17일, 11월 20일로 한다.

  2. 논문 및 제반의 서류는 원고모집 공고에 명시된 온라인 투고시스템을 통해 제출한다.

  3. 편집위원회는 심사결과에 따라 접수된 논문의 수정이나 보완을 요구 할 수 있으며, 수정 및 보완된 논문은 정해진 기한 내 제출하여야 한다.

  4. 논문 투고시 논문 원고 외, 함께 제출할 서류로는 ‘논문투고 신청서’, ‘저작권활용동의서’, ‘연구윤리 서약서’, ‘논문유사도검사 결과’이며 본 학회가 정한 양식에 따라 작성하고 서명하여 제출하도록 한다.

 

제 6조(논문 분량)

  1. 논문의 분량에는 표지, 국문요약, 본문, 영문초록, 참고문헌을 포함한다.

  2. 논문의 분량은 A4지 기준 16매 내외를 기준으로 한다.

  3. 논문의 분량은 최대 40매를 초과할 수 없다.

 

제 7조(심사비와 게재료)

  1. 논문심사비는 10만원이며, 투고 시 지정된 계좌로 입금해야한다.

  2. 심사에 통과한 논문의 경우 1편당 10만원의 게재료를 납부한다. 단, 연구비를 받아서 작성된 논문은 1편당 30만원의 게재료를 납부한다.

  3. 긴급하게 진행될 논문은 투고 시, ‘긴급’을 표시해야 하며, 최종 게재가 확정되면 급행료를 납부해야 한다.

  4. 논문은 원고분량이 16페이지가 초과될 시 초과 페이지 당 10,000원의 추가 게재료를 부과한다.

 

제 8조(논문 작성 방식)

  1. 투고하는 논문은 본 학회가 정한 논문 작성 방식에 따라 작성되어야 한다.

  2. 논문은 컴퓨터 파일로 작성하고 확장자 hwp 파일로 제출한다.

  3. 논문의 머릿글, 쪽번호 등은 작성하지 않는다.

제 9조(표지 및 영문초록 작성 방식)

  1. 논문의 표지에는 논문 제목, 작성자 성명, 국문 요약 및 주제어를 작성한다.

  2. 논문의 제목 및 작성자 성명은 국문 및 영문을 모두 표기한다. 외국인의 인명은 원어 그대로 쓴다. 단, 국문 및 영문 외 다른 언어 표기가 필요할 시, 국문, 영문, 해당언어의 3가지를 모두 표기한다.

  3. 논문내용의 국문요약(가로 80열, 세로 10행 이내)을 논문 제목 다음 부분에 제시한다.

  4. 국문요약 부분 아래에 국문 주제어를 5개 내외로 제시한다.

  5. 영문초록은 논문의 가장 마지막 페이지에 800단어 이상 1000단어 이내로 작성한다.

  6. 영문초록의 아래에 영문 주제어를 5개 내외로 제시한다.

 

제 10조(본문 작성 방식)

   1. 논문의 본문을 작성할 시 제목의 번호 붙임은 다음을 따른다.

1단계: Ⅰ,Ⅱ,Ⅲ                  5단계: 가),나),다)

2단계: 1, 2, 3                    6단계: (1),(2),(3)

3단계: 가, 나, 다               7단계: (가),(나),(다)

4단계: 1), 2), 3)                 단순한 나열: ①,②

   2. 표 및 그림은 원본 그대로를 복사, 인쇄할 수 있도록 저자가 완벽하게 그려서 제출한다.

   3. 표와 그림에는 일련번호를 붙이되, 표에는 < >, 그림에는 [ ]과 같은 괄호를 사용하여 표의 제목은 상단 왼쪽정렬, 그림의 제목은 하단 가운데 정렬로 한다.

예: <표 1>, [그림 1]

   4. 본문 내 인용 문헌은 다음을 따른다.

<일반사항>

1) 한글 이름은 성과 이름, 영문 이름은 성만 기재

2) 성이 동일한 경우 이름까지 기재

- 예: …한다(A. Smith, 2020; B. Smith, 2019). 또는 Alexandra Smith(2020), Brian Smith(2019)는 …

3) 날짜 정보가 없는 경우 'n.d.' (No Date)로 기재

4) 동일 저자의 동일 연도 자료의 경우 연도 뒤에 a, b, c 등을 부기하여 구분

- 예: Bruner(1996a, 1996b) 또는 (Bruner, 1996a, 1996b)

 

<본문 내 인용>

1)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는 경우에는 괄호 속에 발행연도 또는 발행연도와 해당 면을 표시한다.

- 예: 이 문제에 관하여 홍길동(2020)은... Bruner(2020: 25)은...

2) 인용하는 저서나 저자명이 본문에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부분 말미에 괄호를 치고 그 속에 저자명과 발행연도를 표시한다. 참고문헌이 여럿일 경우에는 문헌들 사이를 쌍반점( ; )으로 가른다.

- 예: ...로 확인되었다(홍길동, 2022). 한 연구(홍길동, 2022; Bruner, 2002)에 의하면....

3) 저자가 다수일 경우 2인까지는 모두 표시한다. 영문의 경우 본문 인용 시에는 &로 작성한다.

- 예: 국문 → (홍길동, 허균, 2021) 또는 홍길동, 허균(2021)

- 예: 영문 → Bruner & Spencer(2002) 또는 (Bruner & Spencer, 2002)

4) 저자가 3인 이상은 첫 번째 저자만 나타낸다. 국문의 경우 ‘홍길동 외’로 작성한다. 영문의 경우 ‘Bruner et al.’로 작성하며, 괄호 안에는 &, 본문 인용 시에는 and로 작성한다.

- 예: 국문 → (홍길동 외, 2021) 또는 홍길동 외(2021)

- 예: 영문 → (Bruner et al., 2021) 또는 Bruner et al.(2021)

5) 저자가 단체인 경우 약어가 있는 단체명은 첫 인용 시 전체명칭 입력 후 대괄호 안에 약어를 표시하고, 다시 인용할 때는 대괄호를 제외한 약어만 표시한다.

- 첫 인용: (미국심리학회 [APA], 2020) 또는 미국심리학회(APA, 2020)

- 두 번째 인용: (APA, 2020) 또는 APA (2020)

6) 특정 부분 직접 인용 시, 인용 페이지를 기재해야 하며, 페이지 번호는 약어 ‘p.’ (단일 페이지) 혹은 ‘pp.’ (페이지 범위)로 기재한다. 이때 인용 범위가 두 줄이 넘어가면 블록인용(block quotation)에서 출처를 찾기 쉽도록 한다.

- 예: Bruner(2020)에 따르면 “...” (p. 3). 또는 그는 “...”이라 한다(Bruner, 2020, p. 3).

※ 재인용을 권장하지 않으나, 원문을 구할 수 없는 경우에 제한해 재인용을 허용한다. 재인용 시, 원 자료의 저자를 표기하고, 국문의 경우 ‘재인용’을 영문의 경우 ‘as cited in’을 표기와 함께 재인용한 저자를 기재

- 예: (홍길동, 2022, 허균, 2020 재인용) 또는 홍길동(2022, 허균, 2020에서 재인용)

- 예: (Bruner, 2020, as cited in Spencer, 2021) 또는 Bruner(as cited in Spencer, 2021)

 

제 11조(참고문헌 작성 방식)

  1. 참고문헌은 본문에서 언급한 것을 누락시키지 말고 포함시키되, 본문에 인용되어 있지 않은 문헌은 제시하지 않는다. 저자이름은 누락시키지 말고 모두 표기한다.

  2. 국내문헌은 저자이름을 ‘가나다...’ 순으로 먼저 제시하고, 외국문헌은 알파벳순으로 제시하며, 여러 나라 문헌을 참고했을 경우, 한, 중, 일, 서양서 순으로 열거한다.

  3. 논문의 말미에 아래와 같은 요령으로 제시한다. 여기에 예시한 이외의 참고문헌의 작성법은 APA 7th 양식을 따른다.

<일반사항>

1) 저널명/서명/연속간행물명 등의 경우 이탤릭체로 기재

2) 저자명(저자의 성)에 따라 한글은 가나다순, 영어는 알파벳순으로 배열

3) 동일한 저자의 여러 자료를 다룬 경우 시간 순으로 배열

4) 저자명은 국내를 포함한 중국, 일본 저자의 경우 성명을 그대로 기재하고, 서양 인명은 성(Last Name), 이름(First Name), 중간이름(Middle Name) 순으로 기재하고 이름과 중간이름은 약자로 표기 (예: Jane Marie Smith → Smith, J. M.)

4) 동일한 이름으로 시작되는 저자명은 단일 저작을 먼저, 공저서는 그 다음에 배열

5) 서양서의 경우 책, 챕터, 기사, 보고서 등 제목 및 부제의 첫 글자만 대문자로 표기하고 정기간행물은 제목 및 부제, 콜론 또는 대시 뒤의 모든 단어의 첫 글자를 대문자로 표기

6) 출판연도를 알 수 없는 경우 'n.d.' (No Date)로 기재

7) DOI가 있는 문헌의 경우에는 필수 기재. DOI가 없는 경우 URL로 대체 가능

 

<참고문헌 작성 방식>

1) 단행본의 경우, 책 이름을 이탤릭체로 표기

<책> 홍길동 (2005). 컨설팅연구. 가나출판사. 또는 Airasian, P. W. (1991). Classroom assessment. McGraw Hill. DOI(if available)

<번역서> Spencer, L. M., & Spencer, S. M. (1997).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민병모, 박동건, 박종구, 정재창 번역). PSI컨설팅. (원저 1993년 출판)

<편저> Hoffmann, C. R., & Wolfram Bublitz, W. (Eds.). (2017). Pragmatics of social media. De Gruyter. DOI(if available)

<에디션> DeHart, G. B., Sroufe, L.A., & Cooper, R. G. (1995). Child development: Its nature and course (4th ed.). McGraw-Hill. DOI(if available)

2) 정기간행물 속 논문의 경우, 논문집 및 Vol. 이탤릭체로 표기

- 예: 홍길동 (2017). 한국의 현황에 대한 연구. 한국기본학연구, 11(1), 187-198. DOI(if available)

- 예: Bookhart, S. M., & Freeman, D. J. (1992). Characters of teacher candidate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2(3), 37-65. DOI(if available)

3) 학위논문의 경우, 논문명은 이탤릭체로 표기하고 학위명, 수여기관명 기재. 이때 공개된 자료는 데이터베이스명 또는 URL 기재

- 예: 김길순 (2004). 한국 코치의 코칭유형 분석 [박사학위논문, 한국대학교 대학원]. DBpia.

- 예: Rose, T. (2002). Integrating art and technology: An action research case study in a high school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01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4) 학술대회 및 심포지엄

<출판자료> 정기간행물/단행본 작성법과 동일

<학술발표> 홍길동 (2020. 11. 2). 리더십과 조직몰입의 관계 [기조강연]. ○○학회 춘계학술대회, 서울, 대한민국. URL(if available)

<심포지엄> 홍길동 (2020. 10. 15.). 평생교육의 미래. 류은영 (사회), 미래 · 공존 · 가능 도서관의 시대 [패널발표]. OO 심포지엄, 서울, 대한민국. URL

5) 연구보고서 및 정부간행물의 경우, ‘발행기관명. (발행연도). 보고서명(간행물 번호). URL.’ 또는 ‘저자명. (발행년도). 보고서명(간행물 번호). 기관명. URL.' 순으로 기재

- 예: 교육부, 한국연구재단. (2019). 2019 대학 산학협력활동 조사보고서(제 112017호). https://www.nrf.re.kr/...

- 예: 통계청. (2022). 2022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 결과. URL

- 예: Korea Behavior-Science Institute. (1998). Job preference test research report. URL

- 예: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1982). Television and Behavior: Ten Years of Scientific Progress and Implications for the Eighties (DHHS Publication No. ADM 82-1195). URL

6) 온라인 매체

<영상> 세바시 대학 Sebasi Univ. (2021. 1. 7). 평생 공부는 두 가지를 잘해야 합니다 | 고영실 | 세바시 교양대학 수료생 [Video]. YouTube. URL

<웹페이지> 저자명이 있으면 기재 없으면 제목 기재

- 예: 임지연. (2019. 1. 17.). 대학도서관, ‘이용자 중심’으로 확대된다. e-대학저널. URL

- 예: e-나라지표 (2022). 실업자 및 실업률 추이. 통계청. 2022년 9월 28일 검색, URL

- 예: Tuscan white bean pasta. (2018, Feb. 25). Budgetbytes. Retrieved March 18, 2020, from URL

<전자신문> 허은정. (2018. 10. 24). 평생교육 현장 ‘평생교육사’가 없다. 뉴스포털1. URL

 

 

부 칙

제 1조(시행)

본 규정은 2022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기관명 : 한국평생교육융복합학회           

대표자 : 리상섭           

기관번호 : (고유번호) : 701-80-02398
주소 : (02748) 서울시 성북구 화랑로13길 60 (동덕여자대학교)  
사무국 및 편집국(논문 관련 문의) E-mail : kalec0818@naver.com

©2022 by Copyright The Korea Association of Lifelong Education & Convergence. All Right Reserved.

bottom of page